$\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압 균질기의 압력이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자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sure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te Nanoparticles Synthesized Using a High Pressure Homogenizer 원문보기

韓國磁氣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26 no.6, 2016년, pp.190 - 195  

지성화 ((주)일신오토클레이브) ,  김현효 ((주)일신오토클레이브) ,  김효진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분산제 및 산화제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채 고압 균질기를 사용하여 $Fe(OH)_2$ 현탁액으로부터 합성된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자기 특성에 미치는 공정 압력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관측된 X-선 회절 패턴으로부터 모든 나노입자가 마그네타이트의 역스피넬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X-선 회절 및 투과전자현미경 분석 결과로부터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고압 균질화 과정의 공정 압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평균 입자 크기는 21에서 26 nm에 이르며, 공정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료진동형 자화율 측정기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측정된 자기 이력 곡선으로부터 1500 bar의 공정 압력 조건에서 합성된 마그네타이트 나노분말이 초상자성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port the effect of pressure varying from 0 to 1500 bar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te nanoparticles synthesized from $Fe(OH)_2$ suspension using a high pressure homogenizer without any dispersing agent and oxidant. The observed X-ray diffraction (XRD) patterns showed that 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고압 균질기를 사용하여 공정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에 입자 크기 및 분포와 자기 특성을 X-선 회절법, TEM 분석 그리고 VSM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X-선 회절 측정 및 TEM 분석 결과로부터 고압 균질화 과정을 거쳐 합성된 마그네타이트 입자가 순수한 입방 스피넬 구조를 가지며, 평균 입자 크기는 21~24 nm로서 공정 압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고압 균질화 과정의 공정 압력에 따른 마그네타이트 나노 입자의 초상자성 특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VSM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외부 자기장을 10 kOe까지 인가하면서 자기 이력 곡선을 측정하였다. 거시적 자성 특성 측정에 있어서 초상자성을 나타내는 대표적 특징은 자기 이력 현상이 사라져서 잔류 자화(retentivity, Mr)와 보자력(coercivity, Hc)의 값이 0이어야 한다[20].
  • 현탁액으로부터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균질화 과정의 공정 압력을 변화 시키면서 합성된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한 다음에 자기 특성에 미치는 공정 압력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여기서 고압 균질화 과정을 거쳐 합성된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가 균일한 크기 분포 및 초상자성을 나타냄으로써 생명의학적 응용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유망하다는 점이 제시될 것이다.
  • 시료의 입자 크기와 미세구조는 300 kV에서 작동하는 투과전자현미경((TEM, Tecnai G2 F30)을 이용하여 관찰되고 분석되었다.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자기적 특성은 상온에서 시료진동형 자화율 측정기(VSM, Lake Share Model 7300)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 본 논문에서는 분산제 및 산화제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채고압 균질기를 사용하여 Fe(OH)2 현탁액으로부터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균질화 과정의 공정 압력을 변화 시키면서 합성된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한 다음에 자기 특성에 미치는 공정 압력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합성은 고압 균질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는데, 여기서 내경 75 µm의 미세 구멍 모듈(Z형)이 있는 반응실을 갖춘 고온 균질기의 모식도를 Fig. 1에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 출발 원료로서는 칸토 케미칼(Kanto Chemical)에서 구입한 특급 시약 염화제일철 4수화물 (FeCl2 · 4H2O)과 삼전 케미칼(Samchun Chemical)에서 구입한 특급 시약 수산화나트륨(NaOH)를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합성된 마그네타이트 입자의 크기는 관측된 X-선 회절 결과로부터 쉐러(Scherrer) 공식을 이용하여 결정되었다. 압력이 0, 500, 1000 그리고 1500 bar에서 합성된 마그네타이트 입자의 평균 크기는 각각 26, 24, 22 그리고 21 nm인 것으로 추산되었고, 그래서 마그네타이트 입자의 크기는 고압 균일화 과정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그네타이트 입자의 자기 특성은 어떠한가? 마그네타이트(Fe3O4) 나노입자(nanoparticle)는 자기 저장 매체와 자기 공명 영상(MRI) 조영제 및 약물 전달체를 비롯한 다양한 나노 기술 및 나노-바이오 기술 분야에 대한 유망한 응용성 때문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1-4]. 특히 마그네타이트 입자의 자기 특성은 입자 크기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입자 크기가 나노 크기로 작아지게 되면 초상자성 (superparamagnetism)이라는 독특한 자기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초상자성 나노입자는 외부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나노입자 사이에 자기적 상호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안정된 콜로이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평균 크기 및 크기 감소 조건은 무엇인가? X-선 회절 및 투과전자현미경 분석 결과로부터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고압 균질화 과정의 공정 압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평균 입자 크기는 21에서 26 nm에 이르며, 공정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료진동형 자화율 측정기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측정된 자기 이력 곡선으로부터 1500 bar의 공정 압력 조건에서 합성된 마그네타이트 나노분말이 초상자성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확인할 수 있었다.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실행된 기법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응용은 입자 크기와 모양, 크기 분포 그리고 입자 표면 화학 및 응집에 영향을 미치는 제조 방법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을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채용한 여러 방법들이 실행되었는데, 지난 수십 년 동안 화학적 공침법(chemical co-precipitation), 스프레이 열분해법(spray pyrolysis), 마이크로파 조사법(microwave irradiation), 마이크로에멀젼법(microemulsion), 졸겔법(sol-gol), 수열법 (hydrothermal method) 등이 시도되었다. 그런데 합성된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비교적 좋지 못한 크기 균일성과 낮은 결정성이 다양한 응용에 있어서 소자 성능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8-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E. H. Kim, Y. K. Ahn, and H. S. Lee, J. Alloys Compd. 434, 633 (2007). 

  2. M. Arruebo, R. Fernandez-Pacheco, M. R. Ibarra, and J. Santamaria, Nanotoday 2, 22 (2007). 

  3. A. Ito, M. Shinkai, H. Honda, and T. Kobayashi, J. Biosci. Bioeng. 100, 1 (2005). 

  4. J. H. Cho, S. G. Ko, Y. K. Ahn, K. C. Song, and E. J. Choi, J. Nanosci. Nanotechnol. 9, 779 (2009). 

  5. D. S. Mathew and R.-S. Juang, Chem. Eng. J. 129, 51 (2007). 

  6. E. J. Choi, Y. K. Ahn, and E. J. Hahn, J. Korean Phys. Soc. 53, 2090 (2008). 

  7. A. H. Morrish and S. P. Yu, J. Appl. Phys. 26, 1049 (1955). 

  8. J. Chen, F. Wang, K. Huang, Y. Liu, and S. Liu, J. Alloys Compd. 475, 898 (2009). 

  9. H. Yan, J. Zhang, C. You, Z. Song, B. Yu, and Y. Shen, Mater. Chem. Phys. 113, 46 (2009). 

  10. J. Murbe, A. Rechtenbach, and J. Topfer, Mater. Chem. Phys. 110, 426 (2008). 

  11. R. Y. Hong, T. T. Pan, and H. Z. Li, J. Magn. Magn. Mater. 303, 60 (2006). 

  12. Y. J. Suh, D. S. Kil, K. S. Chung, H. S. Lee, and H. Shao, J. Magn. 13, 106 (2008). 

  13. K. Burapapadh, H. Takeuchi, and P. Sriamornsak, Adv. Mater. Res. 506, 286 (2012). 

  14. J. H. Cho, T. Y. Kim, H. Y. Yun, and H. H. Kim, Am. J. Res. Comm. 2, 168 (2014). 

  15. S. Krehula and S. Music, Croat. Chem. Acta 80, 517 (2007). 

  16. Q. Shou, J. Cheng, L. Zhang, B. J. Nelson, and X. Zhang, J. Solid State Chem. 185, 191 (2012). 

  17. R. Ahmadi, M. Malek, H. R. M. Hosseini, M. A. Shokrgozar, M. A. Oghabian, A. Masoudi, N. Gu, and Y. Zhang, Mater. Chem. Phys. 131, 170 (2011). 

  18. M. C. Mascolo, Y. Pei, and T. A. Ring, Materials 6, 5549 (2013). 

  19. Z. Tang and L. Shi, Eclet. Quim 33, 15 (2008). 

  20. S. W. Lee, J.-G. Lee, K. P. Chae, and S. Y. An, J. Korean Magn. Soc. 20, 196 (2010). 

  21. X. Wen, J. Yang, B. He, and Z. Gu, Curr. Appl. Phys. 8, 535 (2008). 

  22. Y. K. Ahn, E. J. Choi, S. Kim, and H. N. Ok, Mater. Lett. 50, 47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